1. 강북구 마을공동체는 2013년에 마을공동체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주민들의 마을공동체 활동을 지원해왔습니다. 지나온 5년의 평가를 바탕으로 2기 마을공동체 계획을 수립할 것을 제안합니다.
2. 강북구를 제외한 동북 3구(노원, 도봉, 성북)는 마을공동체지원센터 설립과 운영을 통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주민들의 마을공동체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마을공동체 활동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강북구 마을공동체지원센터 위탁 및 운영을 제안합니다.
3. 마을공동체사업이 부서별 칸막이로 진행됨으로서 주민들의 마을공동체 활동에 대한 통합지원이 어려운 형편입니다. 이에 통합적이고 다각적인 마을공동체 행정수립을 위한 ‘행정협의회’ 구성 및 운영을 제안합니다.
4. 서울형 주민자치회 전환에 맞춰 지역사회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며, 주민이 주인되는 일상의 민주주의 실현, 실질적인 주민자치회 안착을 위한 ‘동단위 주민자치회 행정지원계획 수립’을 제안합니다
5. 마을공동체는 다양한 사람, 다양한 입장이 반영되고 조율되는 과정을 통해 공익성을 갖게 됩니다. 이에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이 다양한 주민들의 삶의 이야기를 담아 낼 수 있도록 단계별, 유형별, 의제별 사업의 구성을 제안합니다.